안녕하세요 . 초보 IT 동동 입니다.
오늘도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해 결과값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확인 해보려고합니다.
처음에 겁을 많이 먹고 하다보니,,, 지금은 조금 익숙해져서 괜찮은 것 같아요!
바로 리눅스 명령어를 진행해보겠습니다.
오늘은 3가지를 이용해보려고 합니다.
1. df
2. du
3. cp (coppy)
4. mv (move)
1. df |
df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의 전체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파일시스템 / 디스크 크키 / 사용량 / 여유공간 / 사용률 / 마운트 지점 순으로 나타납니다.
Filesysterm | 리눅스에 마운트가 되어있는 파일 시스템 목록 |
1K-blocks | 전체 용량 |
Used | 사용량 |
Available | 여유공간 |
Use% | 용량 대비 사용량 퍼센트 |
Mounted on | 마운트 된 경로 |
df 에도 옵션이 있습니다.
-a / -h / -T / -l
이중 -h 옵션을 사용하면 보기 편하게 메가M, 기가G 단위로 디스크 공간 확인이 가능합니다.
2. du |
df 는 시스템 전체의 디스크 공간 확인 이라면 du는 명령어는 특정 디렉토리 기준으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특정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사용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cp |
cp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명령어 입니다. 복사 작업은 데이터를 백업할 때 필요하기 때문에 익혀두시면 좋습니다.
디렉토리를 복사 시 -R 또는 -r 옵션을 사용해야합니다.
복사할 디렉토리를 적어주고 복사될 디렉토리 이름을 넣어주면, 복사가 되신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복사할 디렉토리를 이름을 변경하여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사진처럼 cp -r abcd 까지 적어주시고 변경하실 이름을 적어주시면 변경된 이름으로 해당 디렉토리가 복사가 됩니다.
cp 에서 자주 사용이 되는 옵션입니다.
-i : 복사될 파일 이름이 이미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덮어쓰기를 확인합니다.
-b : 복사될 파일 이름이 이미 있을 경우, 백업 파일을 만들어냅니다.
-f : 복사될 파일 이름이 이미 있을 경우, 강제로 덮어씁니다.
-a : 원본 파일의 속성, 링크 정보까지 전체 복사합니다.
-r : 하위 디렉토리 까지 모두 복사합니다.
4. mv |
mv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한 위치에서 다른위치로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하는데 사용이 됩니다.
mv를 이용하여 abcd라는 디렉토리를 media 디렉토리로 옮겨진 상황입니다.
mv를 이용하여 이름변경도 가능합니다. abcd2로 변경했습니다. abcd2라는 디렉토리가 없기때문에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아직 초보라 이것저것 명령어 옵션을 해보고 있으나, 어렵네요.
다음에도 리눅스 명령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초보 IT 동동 리눅스 파티션 특징과 종류, RAID 설명 (0) | 2023.02.23 |
---|---|
[10] 초보 IT 동동 리눅스 기본 명령어 파헤치기 (0) | 2023.02.22 |
[8] 초보 IT 동동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 이용해보기 (0) | 2023.02.17 |
[7] 초보 IT 동동 Cent OS 7에서 고정 IP 설정하기 (0) | 2023.02.15 |
[6] 초보 IT 동동 버추어박스(Virtual Box) CentOS 7 Text모드 설치 방법 (0) | 2023.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