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리눅스명령어13

리눅스 파일 퍼미션 완전정복! chmod, chown, umask까지 한 방에! 리눅스를 조금만 써보다 보면 어느 순간 마주치게 되는 벽이 있죠. 바로 파일 권한(permission) 입니다!처음엔 -rw-r--r-- 같은 문자들이 암호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알고 보면 꽤 간단하고 강력한 기능이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퍼미션의 구조부터 chmod, chown, umask까지, 파일 권한 설정의 모든 것을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실습 예제도 함께 있으니 꼭 따라 해보세요!🧱 1. 리눅스 퍼미션의 기본 구조 – 이게 다 무슨 뜻이야?리눅스에서 ls -l 명령어로 파일 목록을 보면 아래처럼 출력되는 거 보셨죠? -rw-r--r-- 1 user group 1234 Apr 23 10:00 example.txt 이 중 첫 열의 -rw-r--r-- 부분이 바로 퍼미션, 즉 파.. 2025. 4. 24.
리눅스 기초 명령어 10가지 – 초보자를 위한 사용법 총정리 ( ls / 리눅스 명령어 / 터미널 명령어 / 초보) 리눅스 기초 명령어 10가지 – 초보자를 위한 사용법 총정리리눅스를 처음 접했다면 명령어 사용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하지만 자주 쓰이는 기초 명령어 몇 가지만 익혀도 터미널 사용이 훨씬 수월해져요.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초 명령어 10가지와 그 사용법, 용도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이 글은 리눅스 입문자를 위한 기초 가이드이며, Ubuntu, CentOS, Fedora 등 대부분의 배포판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합니다.1. ls – 디렉토리 목록 보기용도: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폴더 목록 출력사용법:bash복사편집ls # 기본 사용 ls -l # 자세히 보기 (권한, 크기 등) ls -a # 숨김 파일 포함 🖼️ 2. cd – 디렉토리 이동용도: 원하.. 2025. 4. 17.
리눅스 파일 시스템 완전 정복: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의 차이 리눅스를 다루다 보면 꼭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절대 경로(Absolute Path)와 상대 경로(Relative Path)입니다.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룰 때 이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있는 것의 차이는 실로 큽니다. 특히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할 때,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할 때 등 수많은 상황에서 이 둘은 필수적으로 쓰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의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실제 예시와 함께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절대 경로란?절대 경로는 **파일 시스템의 최상위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는 경로입니다. 말 그대로, 전체 파일 시스템 상의 위치를 절대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이죠.✅ .. 2025. 4. 14.
[27] 초보 IT 동동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살펴보기 (bg, fg, kill, killall, nice, renice, top, nohup)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도 이어서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g 포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전환 fg 백그라운드에서 포그라운드로 전환 bg 명령어는 실행중인 현재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합니다. 포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때 실행 중인 작업을 일시 멈춤 후(ctrl + z), bg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bg명령어를 실행할 땐 백그라운드 작업을 실행하고 하면 명령어 뒤에 &를 덧붙이면 됩니다. fg 명령어는 실행중인 현재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합니다. 작업번호를 따로 부여하지 않고,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전환합니다. 작업을 종료할 땐 ctrl + c를 입력하면 됩니다. kill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kill 옵션 설명.. 2023. 3. 22.
[26] 초보 IT 동동 리눅스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살펴보기(ps,pstree,jobs)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ps, pstree, jobs 3가지 명령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ps ps 는 process status의 줄임말로 현재 가동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령어 입니다. CPU 사용이 낮은 순서로 출력이 되며, ps만 입력시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PID : 프로세스 식별번호 TTY : 프로세스와 연결이 된 터미널 번호 TIME : CPU 총 사용시간 CMD : 실행명령 옵션 설명 a 현재 가동중인 프로세스들을 모두 출력합니다. e 모든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u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스 시작 시간을 출력합니다. x 접속된 터미널 외 가동중인 모든 프로세스들.. 2023. 3. 21.
[19] 초보 IT 동동 리눅스 권한과 그룹 설정에 관하여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도 리눅스에 관하여 열심히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번엔 리눅스에서 권한과 그룹설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에서는 파일과 디렉터리에는 접근권한과 소유권이 부여됩니다. 로그인 후 ls -l명령어를 입력해보시겠습니다. 저는 사진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 total 4 아래로 -rw------- 1 root root 1282 Feb 24 16:00 anaconda-ks.cfg 나옵니다. (색칠 부분 설명) 파일허가권으로 1번의 파일유형과 2번의 접근권한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r (read) 읽기권한 w (write) 쓰기권한 x (exeute) 실행권한 읽기 권한 / 쓰기 권한 / 실행 권한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w------- 1 ro.. 2023. 3. 10.
[18] 초보 IT 동동 리눅스 명령어(ping,host), 시스템종료명령어와 기타 간단명령어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은 ping, host, hostname과 시스템 종료, 기타 간단한 명령어 몇 개 정리해 보겠습니다. ping 외부 호스트에 신호를 보내 서로 응답을 주면서 네트워크가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시켜주는 명령어입니다. 8.8.8.8 은 구글입니다. icmp_seq 는 icmp 데이터그램 메시지 시퀀스 번호입니다. 인터넷이 연결이 안 되어 있을 경우 ping이 나가지 않습니다. ping 명령어 옵션 설명 -c 숫자 ping을 숫자만큼 보내고 화면을 보여줍니다. -i 숫자 초 단위로 신호보냄을 설정합니다. -s 숫자 byte단위로 전송하는 패킷크기를 설정합니다. host 호스트명을 알고 있으나, ip주소를 모를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hostnavme 시스템 이름을 확인.. 2023. 3. 9.
[17] 초보 IT 동동 리눅스 텍스트 파일 관련 명령어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텍스 파일 관련 명령어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at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c cat 명령어 옵션 설명 -n 각 문장 맨앞에 번호를 표시합니다. (비어있는 행 포함) -b 각 문장 맨앞에 번호를 표시하고, 비어있는 행은 제외합니다. -s 연속되는 2개 이상의 비어있는 행을 하나의 행으로 보여줍니다. -A 텍스트 파일에 존재하는 개행 문자나 탭 문자 등을 확인합니다. head 파일 내용의 앞부분을 지정한 만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head 명령어 옵션 설명 -c 출력을 원하는 용량을 지정하고, 지정된 숫자 byte 만틈 문자출력을 합니다. -숫자 또는 -n 숫자 출력을 원하는 줄 수 만큼 나타냅니다. 옵션이나 숫자를 지정하지않으.. 2023. 3. 8.
[16] 초보 IT 동동 리눅스 디렉터리와 파일 관리 명령어 2번째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 입니다. 어제 이어서 파일 관리 명령어 cp 부터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p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하는 명령어 입니다. cp 명령어를 이용하여, test1 을 복사했습니다. 복사한 test2 파일도 cat으로 확인하니, test1 과 같은 내용으로 복사된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p 명령어 옵션 설명 -b 복사할 파일이 이미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 파일을 만듭니다. -f 복사할 파일이 이미 있다면, 복사 대상 파일을 강제로 삭제하고 복사합니다. -i 복사할 파일이 이미 있다면, 사용자에게 덮어씌기를 할 것인지 확인합니다. -r 디렉터리를 복사할 경우, 하위 디렉터리, 파일까지 모두 복사합니다. rm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rm : remove r.. 2023. 3. 7.
[15] 초보 IT 동동 리눅스 디렉터리와 파일 관리 명령어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저번 8장에서 명령어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 보려고 합니다. 1. 디렉터리 관리 명령어 명령어 설명 pwd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 위치를 나타냄 cd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mkdir make directory의 약자로 새로운 대렉터리 생성 시 사용하는 명령어 rmdir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터리만 삭제하는 명령어 (디렉터리 안에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삭제가 안됨.) 명령어 cd 추가 설명 cd ~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 현재 디렉터리 cd .. 현재에서 한단계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 루트 디렉터리로 이동 mkdir 디렉터리명 입력하여 KYD 라는 디렉터리 생성. -m 디렉터리를 만들.. 2023. 3.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