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및 진단 명령어 총정리 – 한 방에 끝내자!

by 동동이y 2025. 5. 9.
728x90
반응형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및 진단 명령어 총정리 – 한 방에 끝내자!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어김없이 마주치는 상황!
“어라? 인터넷이 왜 안 되지?” “서버에 접속이 안 되네…?”
이럴 때 당황하지 말고! 딱 필요한 네트워크 명령어만 제대로 알면
문제 원인도 빠르게 파악하고 뚝딱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오늘은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네트워크 설정 및 진단 명령어들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 하나면 네트워크 문제도 척척~ 자신감 뿜뿜! 😎


🧭 1. 현재 네트워크 상태 확인

✅ ip a 또는 ip addr

bash
 
ip a
  • 현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목록 확인
  • 각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상태 등을 보여줍니다

🎯 와~ 이 명령어 하나면 “지금 내 컴퓨터에 IP가 제대로 잡혀 있는지” 바로 알 수 있어요!


✅ ip r 또는 ip route

bash
 
ip r
  • 기본 게이트웨이 및 라우팅 테이블 확인

👉 인터넷이 안 될 때는 게이트웨이 설정이 꼬였는지도 꼭 확인해보세요!


💡 2. IP 주소 수동 설정 (임시)

bash
 
sudo ip addr add 192.168.1.100/24 dev eth0
  • eth0 인터페이스에 IP 설정
  • /24는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단, 이렇게 설정한 IP는 재부팅하면 사라집니다.


⚙️ 3. DHCP로 IP 자동 설정

bash
 
sudo dhclient eth0
  •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IP 주소를 받아와요

🎉 잘만 되면 바로 인터넷 연결 가능! 그런데… 안 되면? 진단 들어가야죠!


🔍 4. 네트워크 진단 명령어 총정리

📡 ping

bash
 
ping 8.8.8.8
  • 네트워크가 살아 있는지 확인할 때 최고!
  • 구글 DNS로 핑을 보내보면 기본 연결 상태 확인 가능

👉 DNS 문제가 아니라면 보통 여기까지는 통과됩니다!


🌐 ping + 도메인 확인

bash
 
ping google.com
  • DNS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어요!

🔎 traceroute (또는 tracepath)

bash
 
traceroute google.com
  •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를 쭉~ 보여줍니다
  • 어디서 지연되거나 끊기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 서버 중간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 확인할 때 최고죠!


🔌 netstat (또는 ss)

bash
 
netstat -tuln
  • 현재 열려 있는 포트 및 연결 상태 확인

또는 더 현대적인 명령어인 ss도 많이 사용돼요:

bash
 
ss -tuln

🔍 어떤 서비스가 어떤 포트를 쓰는지 궁금할 땐 필수!


🌐 curl과 wget

  • 웹 서버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간단한 응답도 받을 수 있어요

💡 “서버는 열렸는데 웹이 안 떠요!”라는 문제에 바로 대응 가능하죠!


🔎 dig 또는 nslookup

bash
 
dig google.com
  • 도메인에 대한 DNS 응답 확인
  • A 레코드, MX, NS 정보까지 알 수 있음

🧠 DNS 관련 문제 해결할 때 이만한 도구가 없습니다!


🛠 5. 네트워크 설정 파일 (고급 사용자용)

리눅스에서 네트워크를 영구적으로 설정하려면 설정 파일을 건드려야 합니다.

📁 /etc/network/interfaces (Debian 계열)

bash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1.100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1.1

📁 /etc/netplan/*.yaml (Ubuntu 최신 버전)

yaml
 
network: version: 2 ethernets: eth0: dhcp4: no addresses: - 192.168.1.100/24 gateway4: 192.168.1.1

👉 설정 후엔 반드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bash
 
sudo netplan apply

📌 보너스! 와이파이 설정까지?

🔧 nmcli (NetworkManager CLI)

bash
 
nmcli device wifi list nmcli device wifi connect [SSID] password [비밀번호]
  • GUI가 없는 서버에서도 와이파이 설정 가능!
  • 정말 요긴합니다 😆

✅ 정리하며…

와~ 여기까지 보셨다면 이제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의 고수가 되신 겁니다! 🎉
처음엔 좀 복잡해 보여도, 딱 필요한 명령어만 익혀두면 정말 편해요.
그리고 네트워크 문제는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면 80%는 해결된답니다!

혹시나 문제가 생기면 이 글 다시 꺼내서 확인해보세요.
필수 명령어들은 정말 실무에서 매~우 자주 쓰입니다.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