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리눅스를 공부하다보니, 어느덧 12번까지 왔군요. 올해 리눅스마스터 자격증을 취득해보려고 합니다.
차근차근 2급부터 시작하기에 앞서, 리눅스 마스터 2급 서적을 구입해서 같이 공부해보시죠!
1. 리눅스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
리눅스에서의 디렉터리는 파일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리눅스 디렉터리는 최상위 디렉터리 ( / ) 를 기준하여, 하위 디렉터리들이 존재합니다.
이 구조를 트리 구조라고 합니다.
트리구조를 보시면 그림과 같습니다.
디렉터리 별 저장내용 설명입니다.
디텍터리 | 저장내용 |
/ | 최상위 디렉터리로 루트 디렉터리라고도 하며, 모든디렉터리의 출발점이자,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점이 되는 디렉터리 |
/boot | 부트 디렉터리로 부팅이 될 때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저장 |
/proc | 시스템 정보 디렉터리, 커널기능을 제어함 |
/lib |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
/bin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 |
/dev |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
/root | 시스템 관리자용 홈디렉터리 |
/sbin | 관리자용 시스템 표준 명령어, 시스템 관리 관련 실행 명령어 저장 |
/usr | 사용자 디렉터리 |
/home |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 계정들의 홈 디렉터리가 위치 |
/var | 가변 자료 저장 디렉터리, 로그 파일이나 메일 data 저장 |
/tmp | 모든 사용자에 대해 읽기와 쓰기 허용,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 작업을 할 때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 저장 |
/mnt |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 할 때 사용 |
/lost+found | 결함이 있는 파일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
보충 설명
/prco - 가상 파일 시스템,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process들에 관한 내용과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lib - 정적 라이브러리와 동적라이브러리로 두가지 방법이 있으며, 동적 공유 라이브러리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dev - 하드디스크, 프린터, 입출력장치들을 파일화 하여, 관리합니다. (블록 장치 파일 : 하드디스크, CD/DVD, 플로피 )
/etc - 사용자 정보 및 암호 정보 파일, 보안 파일 등을 저장합니다.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부팅 관련 스크립트 파일 있음)
/usr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디렉터리이며,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가 되어야 합니다.
/var - 가변적인 파일(로그파일, 스풀링, 캐싱)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입니다.
centos7에서 최상위 / 로 이동하여, ls 명령어로 디렉터리를 사진과 같이 볼 수 있습니다.
2. 리눅스의 종류 |
종류 | 설명 |
1. 슬랙웨어 리눅스(Slack Ware Linux) | 배포판 가운데 가장 먼저 대중화 되었으며, 1992년 패트릭 볼커딩에 의해 출시되었다. |
2. 데비안 (Debian) | 1994년 이안머독에 의해 비영리 조직으로 데비안 프로젝트 설립이되었으며, GNU의 공식적인 후원을 받고 있다. |
3. 우분투 (Ubuntu) | 데비안 GNU/리눅스에 기초한 운영체제입니다. 고유 데스크탑 환경 유니트를 사용. |
4. 레드햇 | 미국의 레드햇사가 개발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
5. RHEL (Red Hat Enterprise Linux) | 레드햇이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는 상용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
6. 페도라 | 리눅스 커널에 기반하여 운영체제와 레드햇의 후원과 개발 공동체의 지원에 개발된 배포판입니다. |
7. Cent OS | 업스트림 소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 되는 무료 기업용 컴퓨팅 운영체제 이며, 플랫폼을 제공 목적으로 만들어진 리눅스계 운영체제입니다. |
8. 수세 (SUSE) | 독일에서 출시된 배포판입니다. 풍부한 기능과 안정성, 보안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728x90
반응형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초보 IT 동동 리눅스 런레벨 & 로그인, 로그아웃 (0) | 2023.03.03 |
---|---|
[13] 초보 IT 동동 리눅스 부트 매니저 부트로더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02 |
[11] 초보 IT 동동 리눅스 파티션 특징과 종류, RAID 설명 (0) | 2023.02.23 |
[10] 초보 IT 동동 리눅스 기본 명령어 파헤치기 (0) | 2023.02.22 |
[9] 초보 IT 동동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 이용해보기 [두번째] (0) | 2023.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