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16] 초보 IT 동동 리눅스 디렉터리와 파일 관리 명령어 2번째

by 동동이y 2023. 3. 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 입니다.

어제 이어서 파일 관리 명령어 cp 부터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p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하는 명령어 입니다.

cp 명령어로 test1 파일을 복사하여 test2를 만드는 화면

cp 명령어를 이용하여, test1 을 복사했습니다. 복사한 test2  파일도 cat으로 확인하니, test1 과 같은 내용으로 복사된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p 명령어 옵션 설명
-b 복사할 파일이 이미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 파일을 만듭니다.
-f 복사할 파일이 이미 있다면, 복사 대상 파일을 강제로 삭제하고 복사합니다.
-i 복사할 파일이 이미 있다면, 사용자에게 덮어씌기를 할 것인지 확인합니다.
-r 디렉터리를 복사할 경우, 하위 디렉터리, 파일까지 모두 복사합니다.

rm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rm 명령어를 이용하여 test2 파일을 삭제 하였습니다. 삭제 후 ls -l 명령어로 test2 파일이 없어진것을 확인합니다.

rm : remove regular file 'test2' ? 에서 y or n 을 하게 될텐데 당연히 y 면 삭제 n 면 삭제되지 않습니다.

rm 명령어 옵션 설명
-f  삭제 유무 확인메세지 없이 강제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합니다.
-i 삭제 할 때 사용자에게 삭제 유무를 확인합니다.
-r 삭제 디렉터리가 포함하고 있는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을 모두 삭제합니다.

mv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이동하거나 파일명 변경시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mv 명령어를 통하여 test1 파일을 test2로 이름을 변경 하였습니다.

test1 파일을 test2로 이름이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v 옵션은 해당 파일이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해줍니다.

mv 명령어 옵션 설명
-b 대상 파일이 지워지는 것을 대비해 백업 파일을 생성합니다.
-f 대상파일이 사용자에게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확인 하지않습니다.
-v 파일이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touch  파일 크기가 0byte인 빈파일을 만들어내는 명령어 입니다.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파일이 최근 사용한 시간, 수정시간 등 타임테이블로 변경합니다.

현재 ls -l 명령어로 test1은 14:48 / test2는 14:50 으로 확인이 됩니다.
touch 명령어로 test1의 시간이 현재 시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존 test1 과 test2 만 있었지만, touch 명령어로 test 3 까지 생성이 되었습니다.

touch 명령어 옵션 설명
-a 접근 시간을 변경합니다.
-m 수정 시간을 변경합니다.
-c 시스템 현재 시간으로 파일 시간 정보를 수정합니다.
-t 시간정보 특정 파일의 시간 정보를 변경합니다.
-r 파일이름1 파일이름 2 파일이름1의 시간 정보를 파일이름2와 같아지도록 합니다.

file 파일의 종류와 속성값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file  명령어로 test1 의 속성을 보여줍니다.

file 명령어 옵션 설명
-b 파일명은 나오지 않고 파일 유형만 나오게 합니다.
-f 파일 목록에서 지정한 파일들만 명령을 실행합니다.
-z 압축된 파일 내용을 보여줍니다.
-i MIME 타입 문자로 보여줍니다.

MIME  타입이 어떤지 궁금해서 해보니 이렇게 나오네요.

file -i 옵션 시 나타나는 MIME 문자로 보여주는 화면.


find 현재 디렉터리에서 하위 디렉터리 까지 해당되는 조건의 파일을 찾아 경로를 보여줍니다.

fine 명령어 -name 옵션으로 파일경로가 나오는 화면
옵션없이 사용하려면 해당 경로는 입력해줘야나오네요;;

find 명령어 옵션 설명
-name 이름 기준으로 파일을 검색하여 보여줍니다.
-user user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검색하여 보여줍니다.
-perm 지정된 권한의 파일을 검색하여 보여줍니다.
-type 파일 유형에 따라 파일을 검색하여 보여줍니다.
-atime n n일 이전에 접근한 파일을 검색하여 보여줍니다.
-exec 검색된 파일에 수행할 명령어를 지정합니다.

locate 파일 위치를 찾는 명령어입니다.

먼저 locate가 설치 안되어있기 때문에, sudo yum install -y mlocate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합니다.

locate 설치 후 업데이트 까지 진행해야 나오네요.

설치 후 바로 *.bak 파일을 검색해 봤는데, 나오지 않아, updatedb 명령어를 이용하고 난 후 다시 진행해봅니다.

다시 진행하니, locate 명령어가 실행이 되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