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32] 초보 IT 동동 리눅스 활용 X-윈도우 특징과 구성, 개념

by 동동이y 2023. 4. 1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X-윈도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X-윈도우란?

X-윈도우

x-윈도우는 리눅스 환경에 각 애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에 대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를 제공하고,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그래픽 시스템 입니다.

X-윈도우는 X window system, X, X 11 이라고 합니다.

출현 배경으로는 Athena 프로젝트를 통하여 1984년 Bob Scheifler 와 Jim Gettys가 처음으로 개발하였습니다. 

X-윈도우는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을 지원하고, 이기종 시스템 사이에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고, 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X-윈도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의 클라이언트 / 서버 시스템입니다. 서버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작동이 됩니다.

X -윈도우 구성요소

- X 프로토콜 : X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메세지 타입으로 메세지 교환 방법을 규정합니다.

                       오류, 응답, 요구, 입력발생으로 구성되어 있고, Xlib라는 인터페이스와 Xtookit 인터페이스를 사용합니다.

- Xlib : C나 Lisp 언어로 만든 X프로토콜 지원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입니다.

            윈도우 생성, 키보드 처리 등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 XCB : Xlib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입니다.

            Xlib보다 성능이 좋아, 스레드 기능을 지원하고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 Xtoolkit : Xlib로 스크롤바, 메뉴, 버튼 등의 GUI부품을 개발 시 효율성 문제 발생.

                 고급 레벨의 GUI 생성 시 사용합니다.

- XFree86 : 인텔 X86 계열의 유닉스 운영체계에서 동작하는 X서버입니다. 

- XF86Config : XFree86 설정파일입니다. X서버는 XF86Config 파일을 찾아 읽습니다.

xlib 과 XCB

xlib와 XCB와 관련된 라이브러리들을 표시한 그림

X - 윈도우 설정과 실행

리눅스 사용환경을 초기화 합니다. 

- 파일 시스템을 점검합니다.

- 서비스 프로세스를 관리합니다.

- 가상 콘솔을 관리합니다.

-  실행 level을 관리합니다.

런레벨 3 : 텍스트 모드 CUI에 의한 다중 사용자 모드로 제한 없음.

런레벨 5 : 그래픽 모드 GUI에 의한 다중 사용자 모드

X - 윈도우 실행

터미널 윈도우로 로그인을 하면 몇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합니다.

startx는 X-윈도우를 실행하는 스크립트이며, xinit을 호출하여 시스템 환경을 초기화 합니다.

 

X-윈도우 키조합 

- Ctrl + Alt + F1~ F4 : 터미널 변경

- Ctrl + Alt + F7 : X-윈도우 상태로 전환

- Ctrl + Alt + backspace : X-윈도우 강제 종료

 

환경 변수 DISPLAY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동적인 값이 환경 변수입니다.

셸에서 정의되어, 실행하는 동안 프로그램에 필요한 변수입니다.

X-윈도우 display 위치를 지정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