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완전 정리 – 이 글 하나면 끝!

by 동동이y 2025. 4. 29.
728x90
반응형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완전 정리 – 이 글 하나면 끝!

리눅스를 처음 설치하고 터미널을 열었는데… 뭐야, 이 /, /etc, /home 같은 폴더들은 뭐람? 😲
Windows에 익숙한 분들에겐 이 낯선 구조가 정말 당황스러울 수 있어요. 드라이브도 없고, C:도 없고… 도대체 어디서부터 봐야 할까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사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는 알고 보면 정말 논리적으로 잘 짜여 있어요.
한 번만 제대로 이해하면 파일 위치나 설정 파일 찾는 게 훨씬 수월해집니다.

오늘 이 글 하나로 여러분과 함께 리눅스 폴더 구조를 쉽고 재밌게 정리해볼게요.
시작해볼까요? 💡


🌳 / 루트 디렉토리 – 모든 것의 시작!

리눅스에서 가장 중요한 디렉토리, 바로 /입니다.
이 슬래시 하나가 뭐길래 중요하냐고요? 이게 바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최상단, 말 그대로 루트(뿌리)입니다!

리눅스는 Windows처럼 C:, D: 드라이브로 나뉘지 않아요.
하드디스크, USB, 네트워크 드라이브까지 모두 이 / 아래에 이어지는 하나의 트리 구조로 통합돼 있죠.
즉, 리눅스 세계는 전부 이 / 밑에서 시작합니다. ✨


📁 자, 그럼 / 밑에 뭐가 있을까요?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는 다양한 시스템 폴더들이 나뉘어 있어요. 하나하나 같이 살펴볼게요!


📦 /bin – 기본 명령어 모음

ls, cp, mv, rm 같은 우리가 자주 쓰는 명령어들이 들어 있는 폴더예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실행 파일들이 들어 있고, 시스템 운영에 꼭 필요한 명령어만 모여 있답니다.


🛠 /sbin – 관리자용 명령어

이건 좀 더 무거운 명령어들이 있어요. 예를 들어 reboot, mount, iptables 같은 시스템 관리용 명령어들이죠.
일반 사용자는 사용 제한이 있고, 주로 root 계정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들이에요.


⚙️ /etc – 설정 파일 천국

“이 프로그램 설정 어디 있지?” 할 때 거의 대부분 이 폴더 안을 보면 됩니다!
시스템 전반의 설정 파일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정말 자주 쓰이죠.

예를 들면:

  • /etc/passwd: 사용자 계정 정보
  • /etc/hosts: 호스트 이름과 IP 매핑
  • /etc/ssh/sshd_config: SSH 설정 등

🏠 /home – 사용자 집들이 모인 곳

일반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여기에 있어요.
예를 들어 alice라는 사용자는 /home/alice에 개인 파일, 설정, 다운로드 등을 저장합니다.
Windows로 치면 C:\Users\사용자명 과 비슷한 개념이죠!


👑 /root – 루트 계정 전용 집

최고 권한을 가진 root 계정의 홈 디렉토리는 여기 있어요.
일반 사용자와 다르게 /home/root가 아니라 /root에 딱! 별도로 존재합니다.


📚 /usr – 사용자용 프로그램 저장소

처음 보면 “user의 약자인가?” 싶지만, 정확히는 Unix System Resources의 약자예요.
여기엔 응용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문서 등이 들어 있어요. 서브 디렉토리도 많죠:

  • /usr/bin: 사용자용 명령어
  • /usr/sbin: 관리자용 명령어
  • /usr/lib: 라이브러리
  • /usr/share: 아이콘, 매뉴얼 등 공용 리소스

🔄 /var – 계속 변하는 데이터들

var는 **variable(변수)**의 줄임말이에요. 즉, 수시로 바뀌는 데이터들이 저장돼요!
로그, 메일, 캐시 파일 등 계속 쓰고 지우는 것들이 여기에 있어요.

자주 보게 될 경로:

  • /var/log: 시스템 로그
  • /var/tmp: 임시 파일
  • /var/spool: 인쇄 대기열 등

⏱ /tmp – 임시 저장소

여기는 말 그대로 임시로 쓰는 공간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이 일시적으로 파일을 저장할 때 이 경로를 쓰는데, 시스템 재부팅 시 내용이 지워질 수 있어요.


🔌 /dev – 하드웨어도 파일이다?

놀랍게도 리눅스에서는 하드웨어 장치도 파일로 관리합니다!
하드디스크, 키보드, USB 같은 장치들이 /dev 폴더 아래에 있어요.

  • /dev/sda: 하드디스크
  • /dev/tty: 터미널
  • /dev/null: 블랙홀(?) – 아무거나 보내도 사라짐 😅

🧠 /proc – 가상 파일 시스템

이건 좀 특이한 곳인데요, 실제 파일이 아니라 커널이 만들어주는 가상의 인터페이스예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 CPU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 /proc/cpuinfo
  • /proc/meminfo
  • /proc/1/status (1번 프로세스 = init 프로세스)

⚙️ /sys – 하드웨어 정보 인터페이스

/proc이 시스템 상태라면, /sys는 하드웨어 구조를 보여줘요.
장치 드라이버, 모듈 정보, 커널 설정 등을 여기에 담고 있죠.


🥾 /boot – 부팅에 꼭 필요한 파일

커널 이미지(vmlinuz), 초기 RAM 디스크(initrd) 같은 부팅에 필수적인 파일이 들어 있어요.
여기 삭제하면… 시스템이 안 켜질 수도 있어요! 🙀 주의!


💽 /mnt, /media – 외부 장치 연결

USB, 외장하드 등을 연결하면 이 폴더에 자동으로 마운트됩니다.

  • /media: 자동 마운트 위치
  • /mnt: 수동 마운트용으로 사용하는 경로

✅ 한눈에 요약!

경로용도
/ 루트 디렉토리
/bin 기본 명령어
/sbin 시스템 관리자 명령어
/etc 설정 파일
/home 사용자 홈 디렉토리
/root 루트 계정 홈 디렉토리
/usr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var 로그, 메일, 캐시 등 변화하는 데이터
/tmp 임시 파일 저장소
/dev 장치 파일
/proc 시스템/프로세스 정보 (가상)
/sys 하드웨어 정보
/boot 부팅 파일
/mnt, /media 외부 장치 마운트 포인트

💬 마무리하며…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알고 나니 그렇게 어렵지 않죠?
처음에는 좀 낯설 수 있지만, 하나하나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질 거예요.
이제 설정 파일 찾을 때, 프로그램 설치할 때도 당황하지 않겠죠? 😄

다음 글에서는 실전에서 자주 쓰이는 디렉토리 관리 명령어도 소개해드릴게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