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초보 IT 동동입니다.
리눅스 마스터 2급 시험에 등장하는 환경 변수와 셸 변수, bash shell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나다.
시스템 환경 정보 저장소는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환경변수 | - 전체 셸에서 사용 가능한 환경 변수 - 서브 셸에 상속이 가능 - 확인 명령어 : env |
셸 변수 | - 현재 로그인 셸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변수 - 서브 셸에 상속이 불가능 - 확인 명령어 : set |
주요 환경 변수는 종류가 많이 있습니다.
PATH / HOME / HOSTNAME / USER / DISPLAY / PS1 / PS2 / PWD / SHELL / THRM / TMOUT / LANG / PRINT / MAIL
간랸하게 살펴보록 하겠습니다.
PATH - 셸 설정 파일에서 하나에 설정, 실행 할 명령어에 경로를 검색합니다.
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절대경로입니다.
HOSTNAME - 호스트 네임
USER - 사용자
DISPLAY - X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 출력을 위해 X 서버의 주소를 지정합니다.
PS1 - 셸 프롬프트를 선언 할 때 사용하는 변수
PS2 - 2차 셸 프롬프트를 선언 할 때 사용하는 변수
PWD - 디렉터리의 현재 절대 경로
SHELL - 로그인 셸의 절대 경로
TERM - 터미널 종류
TMOUT - 로그아웃에 관하여 시간 제어
LANG - 프로그램 사용 시 언어를 기본으로 지원
PRINT - 프린터 사용
MAIL - 수신한 메일이 저장되는 경로
Bash shell 의 기능 |
History는 명령어를 .bash_history에 저장을 했다가 다시 사용을 할 때 불러오기를 하여 사용이 가능한 기능이 있습니다. 사용자가 사용을 했던 명령어를 다시 입력 하지 않고, 상하 화살표 키만 누르면 다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명령어가 길거나, 복잡할 때 사용하면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bash_history 파일은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history에 관련된 옵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 마지막으로 실행한 명령어 실행 |
!n | n번째 명령어를 실행 |
!-n | 현재 행에서 n개수를 뺀 행의 명령어를 실행 |
!string | 'string'으로 시작하는 가장 최근의 명령어 실행 |
!$ or !!$ | 마지막 명령의 argument |
!* | 마지막에 사용된 명령에 사용된 모든 argument |
!?striing? | 가장 최근 string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를 나타낸다. |
HISTORY 환경 변수 | |
HISTSIZE | 히스토리 크기 지정과 지정 시 단위는 명령어 개수 |
HISTFILE | 히스토리 파일 위치 |
HISTFILESIZE | 히스토리 파일 크기 (물리적) |
HISTTIMEFORMAT | 히스토리 명령어 수행 시간 출력 지정 |
HISTCONTROL | 중복 명령어에 대한 기록 유무 지정 |
echo $HISTSIZE 명령어를 입력하고 사이즈 1000이 나옵니다.
export HISTSIZE=500 으로 history 사이즈를 500으로 변경해줘봅니다.
export HISTTIMEFORMAT="%Y. %m. %d %T" 로 시간 설정을 하면 위 그림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
alias의 기능 | |
alias | 설정되어 있는 별명 확인 |
alias 별명 | 새로운 별명 |
unalias 별명 | 지정된 별명 해제 |
명령어 중에서 자수 사용하는 명령어를 특정 문자로 입력하여,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초보 IT 동동 리눅스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살펴보기(ps,pstree,jobs) (0) | 2023.03.21 |
---|---|
[25] 초보 IT 동동 리눅스 프로세스 유형에 관하여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데몬, 시그널) (0) | 2023.03.20 |
[23] 초보 IT 동동 리눅스 셸(Shell)이란, 셸(Shell)의 종류 (0) | 2023.03.15 |
[21] 초보 IT 동동 리눅스 파일시스템 2번째 기타 파일시스템 (0) | 2023.03.13 |
[20] 초보 IT 동동 리눅스 파일 시스템 (0) | 2023.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