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ps, pstree, jobs 3가지 명령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ps |
ps 는 process status의 줄임말로 현재 가동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령어 입니다.
CPU 사용이 낮은 순서로 출력이 되며, ps만 입력시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PID : 프로세스 식별번호
TTY : 프로세스와 연결이 된 터미널 번호
TIME : CPU 총 사용시간
CMD : 실행명령
옵션 | 설명 |
a | 현재 가동중인 프로세스들을 모두 출력합니다. |
e | 모든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
u |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스 시작 시간을 출력합니다. |
x | 접속된 터미널 외 가동중인 모든 프로세스들을 출력합니다. |
l | 프로세스 정보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
ps와 grep을 사용하여 특정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도 할 수 있습니다.
ex) ps ax | grep httpd 입력 시 httpd 프로세스 정보들의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ps aux 입력 시 나오는 화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SER : 프로세스 계정명
PID : 프로세스 식별 번호
%CPU : CPU 사용 비율
%MEM : 메모리 사용 비율
VSZ : 페이지 단위 가상메모리 사용량
RSS : 실제 사용중인 메모리량
TTY :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번호
STAT :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START : 프로세스 시작 시간
TIME : 총 CPU 사용시간
COMMAND : 실행 명령
ps에서 l 옵션을 하게 되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l옵션은 자세한 정보를 보여주게 됩니다.
F : 프로세스 플래그로 8진수 값의 합을 보여줍니다. (4 : 주기억장치 내에서 락이 걸림, 01 : 주기억장치 내에 있음)
S : 프로세스 상태를 표시합니다. ( S : Sleeping , R : Runnig )
UID : 프로세스 소유자의 유저네임
PPID : 부모 프로세스 PID
C : 짧은 시간 동안 CPU 사용률 입니다.
PRI : 실행 우선 순위 값 (값이 낮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습니다.)
NI : NICE 우선순위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nice 값
ADDR : 프로세스의 주기억장치 내의 주소
SZ : 프로세스 크기입니다.
WCHAN : 프로세스가 대기나, 수면 상태에서 기다리는 사건 / 가동중인 프로세스는 공백입니다.
pstree |
pstree 명령어는 가동중인 프로세스들을 트리구조로 볼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 입니다.
pstree 명령어가 안되실 땐, yum -y install psmisc 를 입력하여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옵션 | 설명 |
-p | 프로세스 ID를 표시 |
-n | 프로세스 ID를 정렬하여 표시 |
-a | 명령행 인자를 포함한 정보를 트리구조로 표시 |
-h | 현재 프로세스와 부모 프로세스를 음영으로 강조하여 표시 |
jobs |
작업이 중지된 상태, 백그라운드 진행 중인 상태, 변경되었지만 보고되지 않은 상태등을 나타냅니다.
옵션 | 설명 |
-l | 프로세스 그룹 ID를 state 필드 앞쪽에 표시 |
-n | 프로세스 그룹에서 대표 프로세스 ID를 표시 |
-p | 프로세스 ID를 한 행씩 표시 |
job 명령어를 하게 되면,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합니다.
[숫자] : 작업 번호
+ : 현재 작업 실행
- : 앞으로 실행 예정인 작업 대기상태
Running : 작업이 중단되지 않아, 종료하지 않고 계속 진행중인 상태
Stopped : 작업 일시 중단
Done : 작업이 완료되어 종료
Done(code) :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초보 IT 동동 리눅스 에디터 종류,활용 (pico, emacs, vi, vim, gedit) (0) | 2023.03.23 |
---|---|
[27] 초보 IT 동동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살펴보기 (bg, fg, kill, killall, nice, renice, top, nohup) (0) | 2023.03.22 |
[25] 초보 IT 동동 리눅스 프로세스 유형에 관하여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데몬, 시그널) (0) | 2023.03.20 |
[24] 초보 IT 동동 리눅스 환경 변수와 셸 변수(bash shell)_리눅스마스터2급 HISTORY, alias기능 (0) | 2023.03.16 |
[23] 초보 IT 동동 리눅스 셸(Shell)이란, 셸(Shell)의 종류 (0) | 2023.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