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초보 IT 동동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파티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파티션 (Partition) |
파티션(Patition)이란?
-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분할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점
- 파티션마다 독립적인 파일 시스템이 운영이 되어, 파일 점검 시간이 줄어듭니다. 이로 인해 부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습니다.
- 특정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어도, 다른 파티션에 영향일 미치지 않아, 안정성이 보장됩니다.
- 필요한 파티션만 선택하여 포맷이 가능하기 때문에, 백업과 업그레이가 쉽습니다.
파티션(Patition) 종류
주 파티션 | 부팅이 가능한 기본 파티션 최대 4개의 주 파티션 분할가능 |
|
확장 파티션 | 주 파티션 내에 생성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1개만 생성 |
|
논리 파티션 | 확장 파티션 안에 생성되는 파티션 논리 파티션은 12개 이상 생성하지 않는 것을 권고합니다. |
|
스왑파티션 |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영역 주 파티션 또는 논리 파티션에 생성 리눅스 설치 시 반드시 설치되어야하는 영역 |
|
2. fdisk |
fdisk는 파티션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리눅스의 디스크 파티션을 만들거나,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옵션명 | 설명 |
a | 부팅 파티션 지정 |
l | 파티션 목록 확인 |
n | 새로운 파티션 추가 |
t | 파티션 종류 변경 |
w | 파티션 정보 저장 |
p | 파티션 정보 확인 |
q | 작업 종료 |
3. RAID |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입니다.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로 인식하여 작동하게 만듭니다.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되는 기술입니다.
종류 | 설명 |
하드웨어 RAID |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장비로 만들어 그 자체를 공급 - 안정된 시스템일수록 값이 비쌈. |
소프트웨어 RAID | -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방식 - 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데이터 저장이 가능함. |
RAID 0 | - 스트라이핑 방식 : 연속된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저장 최소 하드디스크 2개 필요 - 입출력 작업이 모든 디스크에 동시 진행. |
RAID 1 | - 미러링 방식 : 하나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다른 디스크에 동일하게 백업이 되어 저장 - 데이터 저장 시 용량이 두배 필요 |
RAID 2 | - 스트라이핑 방식 - 기록용 디스크와 데이터 복구용 디스크를 나누어 제공 |
RAID 3 | - 스트라이핑 방식 - 오류 검출을 위해 패리티 방식을 이용하며, 패리티 정보 저장을 위해 최소 3개의 하드디스크가 필요 - Byte 단위로 저장 |
RAID 4 | - RAID 3과 유사한 방식 - Block(섹터) 단위로 저장 |
RAID 5 | - 스트라이핑 방식 - 디스크마다 패리티 정보를 가지고 있어, 패리티 디스크의 병목현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실무에 많이 이용된다. |
RAID 6 | - RAID5를 기본적으로 확장 한 것 - 최소 4개의 드라이브가 필요함. |
RAID 0+1 | - RAID 0 과 RAID 1를 조합. - 디스크 2개씩 RAID 0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하드디스크를 RAID1로 구성 - 속도는 빠르지만 데이터 복구 시간이 오래걸림. |
RAID 1+0 | - RAID 0+1의 반대 구성 - 디스크 2개씩 RAID 1로 구성하고, 구성된 하드디스크를 RAID 0으로 구성 - 미러링 후 스트라이핑을 진행하여, 손실된 데이터만 빠른 복원이 가능함. |
이상으로
파티션과 RAID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초보 IT 동동 리눅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초보 IT 동동 리눅스 부트 매니저 부트로더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02 |
---|---|
[12] 초보 IT 동동 리눅스 기본 공부하기 (디렉터리 종류, 특징) (0) | 2023.02.24 |
[10] 초보 IT 동동 리눅스 기본 명령어 파헤치기 (0) | 2023.02.22 |
[9] 초보 IT 동동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 이용해보기 [두번째] (0) | 2023.02.20 |
[8] 초보 IT 동동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 이용해보기 (0) | 2023.02.17 |
댓글